학회 주제
세부 주제 설명
01
산성광산배수(AMD) – 예방, 제어 및 모니터링
산성광산배수(AMD)를 모니터링, 제어, 예방하는 방법과 기술에 초점을 맞추며, 환경적 영향을 다루고 성공적인 관리 및 저감 전략과 혁신 사례를 논의합니다.
02
수문학, 수리지질학 및 광산 지구화학
광산수 시스템의 수문학적·수리지질학적 역학을 다루고,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화학 및 생지구화학적 과정, 수계 이동과 대수층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합니다.
03
광산수 및 수자원 관리
광산수와 더 넓은 범위의 수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접근법을 논의하며, 광산 운영과 수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균형 있게 다루고, 수질 문제, 물 부족 및 과잉 문제에 대응합니다.
04
폐광 관련 문제
폐광과 관련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탐구하며, 갱내수 리바운드 및 오염과 같은 광산수 관리 전략과 함께 토지 복원, 지역사회 영향 등을 다룹니다.
05
광산 지역 수계 지구화학
광산 활동에 의한 갱내수, 폐석, 광물찌꺼기, 광상 등의 영향을 받은 지표수 및 지하수에서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거동, 그리고 조사, 평가를 다룹니다.
06
신기술 – 인공지능, 센서, UAV 등
인공지능, 센서, 무인항공기(UAV), 로봇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광산수 모니터링, 분석 및 환경 관리의 새로운 발전을 탐구합니다.
07
기후변화와 광산수
광산수 관리와 기후 변화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며, 극한 기상현상, 수문 패턴 변화, 회복력을 위한 적응 전략을 논의합니다.
08
Active 광산배수 처리
광산배수의 Active 처리 기법과 기술을 다루며,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과정을 통한 오염물질 제거 및 수질 개선 방법을 소개합니다.
09
광산배수 자연정화 – 자연 기반 해법
생물반응기, 폐기물 재활용 매질반응기, 인공 습지 등 저에너지 및 저탄소 기반 해결책을 활용한 광산배수의 자연정화 기법을 강조하며, 오염 저감과 수질 개선을 위한 생태적 접근을 탐구합니다.
10
광물찌꺼기 및 광물찌꺼기 저장시설
광물찌꺼기 및 저장시설의 관리, 환경적 위험성, 모니터링, 처리 기술, 수자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재활용하는 전략을 다룹니다.
11
광산 영향 수계의 생태, 미생물학 및 회복력
광산배수 영향 수계의 생태학적·미생물학적 측면을 다루며, 오염수 생성 및 저감과 관련된 미생물 과정, 생물다양성, 그리고 다양한 광산 환경에서 미생물과 오염물질 간 상호작용을 살펴봅니다.
12
지열 에너지와 광산수
광산수를 지열 에너지 생산에 활용할 가능성을 살펴보고, 기술적 접근법, 경제적 타당성, 유량 및 온도 변화, 성공 사례 연구를 포함합니다.
13
광산 폐기물의 순환경제
광산 폐기물 및 광산수 관리에서 순환경제 원칙의 역할을 논의하며, 자원 회수, 폐기물 최소화, 지하 양수식 수력발전 저장, 운영 회복력, 자원으로서의 재활용 등을 다룹니다.
14
사례 연구
전 세계 다양한 광산 운영에서의 광산수 관리 사례 연구를 제시하며, 실제 적용에서의 성공과 도전 과제를 공유합니다.
ENG
K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