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WA 2026 Field Trips
IMWA 2026 현장 견학
(Field Trips)
(Field Trips)
국제광산수협회(IMWA)는 광산 활동과 관련된 수질 문제의 연구, 관리, 복원에 전념하는 세계적인 학술 단체입니다. 전 세계 전문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IMWA는 광산수로 인한 환경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회에서는 과학적 발표, 기술 워크숍, 현장 답사가 조화를 이루는 포괄적인 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2026년 한국 동부에서 개최되는 IMWA 2026 학회는 참가자들에게 학문적·실무적·문화적 경험을 아우르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현장 견학(Field Trips) 은 이번 학회의 큰 특징 중 하나로, 지역의 광산배수 관리 사례와 문화유산을 직접 체험할 수 있습니다.
2026년 한국 동부에서 개최되는 IMWA 2026 학회는 참가자들에게 학문적·실무적·문화적 경험을 아우르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현장 견학(Field Trips) 은 이번 학회의 큰 특징 중 하나로, 지역의 광산배수 관리 사례와 문화유산을 직접 체험할 수 있습니다.
학회중 현장 견학(Mid-Conference Field Trips: 7월 8일 수요일)
- 학회 기간 중 하루, 학문적 세션에서 벗어나 현장의 실제 도전과 해결책을 직접 경험합니다.
- 기술 탐방과 문화 체험이 조화된 일정으로, 참가자들은 광산배수 관리 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는 동시에 지역의 아름다운 경관과 문화를 즐길 수 있습니다.
- 등록비에 교통비, 답사비 및 중식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학회후 현장 견학(Post-Conference Field Trip: 강원 및 영남 지역)
- 학회 마지막 일정으로, 한국 남동부의 광산배수 수질정화시설들과 문화 유산들을 심층 탐사합니다.
- 과거 광산 활동으로 인한 환경 영향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 지속가능한 복원 활동과 최신 연구 사례를 통해 광산배수 관리의 복잡성과 혁신적 해결 방안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IMWA 2026의 현장 답사는 교육적 가치와 영감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기획되었습니다.
기술적 지식과 문화적 경험을 결합한 이번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이 지역의 맥락을 직접 체감하면서 광산배수 관리의 과제와 해법을 깊이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기술적 지식과 문화적 경험을 결합한 이번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이 지역의 맥락을 직접 체감하면서 광산배수 관리의 과제와 해법을 깊이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Mid-Conference Field Trips
일정: 2025년 7월 8일 (수요일)
참가비: 70 € (교통, 답사비 및 점심 포함)
Mid-Conference Field Trip은 학회 중 하루 동안 진행되며, 참가자들에게 학문적 세션에서 벗어나 한국 광산수 관리 현장의 실제 도전과 해결책을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번 답사는 기술 탐방과 문화 체험이 결합되어, 광산수 문제를 깊이 이해하는 동시에 강원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즐길 수 있습니다.
참가비: 70 € (교통, 답사비 및 점심 포함)
Mid-Conference Field Trip은 학회 중 하루 동안 진행되며, 참가자들에게 학문적 세션에서 벗어나 한국 광산수 관리 현장의 실제 도전과 해결책을 직접 체험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번 답사는 기술 탐방과 문화 체험이 결합되어, 광산수 문제를 깊이 이해하는 동시에 강원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즐길 수 있습니다.
01
정선 수질정화시설 및 동굴
- 지역: 정선군

- 하이원리조트 수열에너지 활용 시설 & 갱내수 재이용 시설
- 동원탄광 수갱 갱내수를 하이원리조트의 수열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시설 견학
- 동원탄광 갱내수 처리시설 방류수를 고도처리하여 용수로 재이용하는 시설 견학
- 삼탄 침출수 Active 처리시설
- 알루미늄과 망가니즈로 오염된 삼탄 폐석장 침출수를 소석회와 가압부상조(DAF), 여과기 등을 사용하여 좁은 부지에서 처리하는 기술 답사
- 정선 화암동굴
- 금광산과 연결된 독특한 대규모 석회동굴 견학
02
동해 및 강릉 폐광지 재생, 수질정화시설 및 문화유산
- 지역: 동해시, 강릉시

- 무릉별유천지
- 폐광된 석회석 광산의 노천채굴적 호수를 관광지 호수로 탈바꿈
- 영동탄광 Active 정화시설
- 철, 알루미늄 등으로 오염된 영동탄광 갱내수 및 폐석장 침출수를 Active 처리공법으로 처리
- 본 현장의 1단계 사업인 Semi-active 처리시설과 2단계 사업인 Active 처리시설 비교
- 오죽헌
- 조선 시대의 유명한 학자인 이율곡과 모친 신사임당이 태어난 곳으로 600년 전에 지어짐
- 주택의 별당 사랑채로 사용되던 전통 건축물로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전통 주택 중 하나
03
태백 수질정화시설 및 삼탄아트마인
- 지역: 태백시

- 함태 Active 처리시설
- 주요 오염물질이 철인 함태탄광 갱내수를 폭기, 소석회 투입, 침전, 여과의 공정으로 처리하는 시설 및 자동 수질측정 및 ICT 전송 설비 견학
- 연화 Semi-active 처리시설
- 주요 오염물질이 망가니즈인 연화(통기갱) 갱내수를 소석회 투입 및 자연정화식 장방형 침전조와 소택지로 처리하는 시설 견학
- 장방형 침전조 내 배플 및 소택지 주변에 지역주민을 위해 조성한 공원 답사
- 삼탄아트마인
- 폐광된 한국의 주요 탄광 중 하나인 삼척탄좌를 예술광산(Art Mine)으로 재탄생시킨 현장 답사
- 삼탄아트센터 전시, 레일바이뮤지엄 견학 및 카페에서 휴식
Mid-Conference Field Trip은 단순한 기술 탐방을 넘어, 지역의 역사·문화·자연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학습과 체험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Post-conference Field Trip
- 일정: 2026년 7월 10일(금) 14:00 ~ 7월 13일(월) 17:00
- 출발/도착: 정선 하이원 리조트 출발/정선 하이원 리조트 또는 대구광역시 도착
- 참가비: 750유로
- 책임자: 김덕민 교수
- 포함 사항: 점심 및 저녁식사, 현장 답사비, 교통, 호텔 숙박
- 경로: 정선 → 봉화 → 경주 → 부산 → 고성 → 대구 → 정선
답사 개요
- Post-conference Field Trip은 IMWA 2026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프로그램으로, 한국 남동부의 광산배수 수질정화시설들과 문화 유산들을 심층 탐사합니다.
- 과거 광산 활동으로 인한 환경 영향의 효율적 복원 사례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 지속가능한 복원 활동과 최신 연구 사례를 통해 광산배수 관리의 복잡성과 혁신적 해결 방안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01
1일차(7.10(금))

- IMWA 2026 로고의 한반도 지형 방문: 정선 병방치 스카이워크
- 경북 지역으로 이동하여 숙박
02
2일차(7.11(토))

- 봉화군 소재 금정광산 비소 흡착시설 공사 현장 견학: 광산배수 슬러지를 광산배수 처리 매질로 재활용하는 현장
- 1300년 전 지어진 불교 문화유산인 경주 소재 불국사 탐방
- 석식 후에는 마찬가지로 1300년 전 신라 수도인 경주의 궁궐인 동궁과 월지 연못의 야경 감상
03
3일차(7.12(일))

- 해안에 위치한 한국 제2의 도시인 부산으로 이동
- 일광광산 갱내수의 다양한 금속을 처리하는 Semi-active 처리시설 견학
- 해운대 해변과 광안대교 탐방
04
4일차(7.13(월))

- 경남 고성 소재 삼봉 자연정화시설 공사현장 견학: 망가니즈 제거를 위한 슬래그반응조 적용 현장
- 희망자는 대구광역시로 복귀하여 서울행 기차 탑승
- 정선 하이원 리조트로 복귀
이 답사는 광산배수 처리의 복잡성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 접근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동시에,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학문적·문화적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입니다.
ENG
KOR